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ux 이론
- 단계적 공개
- 데스크톱앱
- 정보검열
- 스트라이샌드효과
- 자격증
- UXUI스터디
- 인간행위
- ux이론
- 심리적반발이론
- UX심리학
- waterreminder
- 폰 레스토프 효과
- ux 사회학
- 폰 레스토프
- ux 심리학
- 피츠의 법칙
- UX대학원
- ux 스터디
- uxui리뷰
- streisandeffect
- 검열ux
- 교통카드 잘 못 찍었을 때
- gtq 후기
- 밀러의법칙
- 삭제의역효과
- uxui
- 디지털심리학
- 물알리미
- UX스터디
- Today
- Total
목록2025/03 (5)
Doodle Day

단계적 공개 (Progressive Disclosure) 란?단계적 공개란 정보를 한 번에 전부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 경험(UX)의 이유로 일정한 순서에 따라 점진적으로 공개하는 방식을 의미합니다. 사용자 경험(UX) 측면사용자가 한 번에 너무 많은 정보를 접하면 인지적 과부하(cognitive overload)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필요한 순간에 맞춰 정보를 제공하는 방식입니다.예) 회원가입 절차에서 모든 입력 필드를 한 번에 노출하는 대신, 단계별로 하나씩 보여주는 방식. 단계적 공개 관련 실험 🔍 Nielsen Norman Group (2006) - Progressive Disclosure 연구 연구 개요Nielsen Norman Group(NNGroup)은 UX 및 사용성(Usab..

밀러의 법칙 (Miller's Law) 이란?"정보를 덩어리화 하면 외우기 쉽다." 밀러의 법칙은 인간이 단기 기억(Short-term memory)에서 한 번에 처리할 수 있는 정보의 개수가 7(±2)개라는 심리학적 이론이다. 이는 1956년 심리학자 조지 밀러(George A. Miller)가 발표한 논문 "The Magical Number Seven, Plus or Minus Two: Some Limits on Our Capacity for Processing Information"에서 제안되었다. 사람은 정보 덩어리(Chunk)로 기억한다.밀러는 실험을 통해 사람들이 숫자, 단어, 자음 등의 정보를 기억하는 능력을 측정했다. 실험 결과, 대부분의 사람이 5~9개의 항목을 단기 기억에 유지할 수 ..

게슈탈트 원리 (Gestalt Theory) 란?게슈탈트 이론(Gestalt Theory)은 인간이 개별 요소를 단순히 보는 것이 아니라, 전체적인 패턴이나 구조를 먼저 인식하는 경향이 있다는 심리학적 원리이다. UX/UI 디자인에서는 사용자가 화면의 정보를 어떻게 그룹화하고 인식하는지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전체는 부분의 합과 다르다게슈탈트라는 단어는 '전체로서의 형태'라는 뜻을 가진 독일어다. 게슈탈트 이론에 따르면, 사람은 전체 이미지를 각 부분들 사이의 상호 관계와 맥락 속에서 지각한다. 부분 혹은 요소의 의미가 고정되어 있지 않고 이들이 속한 전체에 따라 달라진다는 것이다. 즉, 게슈탈트 이론은 패턴 지각에 있어 전체와 부분의 전체성과 통합성을 강조한다.게슈탈트 심리학은 20세기 초..

프래그난츠의 법칙 (Principle of Pragnanz) 이란?프래그난츠의 법칙은 게슈탈트 원칙과 관련되어있으며, 인간이 복잡한 시각적 정보를 인식할 때 가장 간결하고 조직적인 형태로 지각하는 경향이 있음을 설명하는 법칙이다. 즉, "사람들은 가능한 한 단순하고 대칭적이며 안정적인 형태로 사물을 지각하려 한다." 예를 들어, 사람들이 복잡한 도형을 볼 때 단순한 형태로 분리하여 이해하거나, 일부가 가려진 사물을 완전한 형태로 인식하는 것이 이에 해당한다. Prägnanz는 독일어로 "간결함, 명확성"을 의미하며, 맥스 베르트하이머(Max Wertheimer)가 1923년에 게슈탈트 법칙을 정리하면서 등장한 개념이다.사람들은 시각적 정보를 복잡한 그대로 인식하지 않고, 최대한 단순한 형태로 조직화해서 ..

도널드 노먼의 인간 행위 모형 (Donald Norman's Seven Stages of Action)도널드 노먼의 인간 행위 모형(7단계)은 사람이 특정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행동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이론적 모델이다. 이 모델은 사용자가 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수행하는 과정을 심리적 단계로 구분하여 설명한다. 이는 HCI(Human-Computer Interaction) 및 UX 디자인에서 사용자 경험을 개선하는 데 중요한 개념이다.이 모델은 인간이 행동을 수행하는 과정을 7단계로 나누며, 이를 통해 행동이 발생하는 과정과 그에 대한 피드백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를 설명한다. 노먼은 인간의 행동을 두 가지 주요 틀로 나누었다. - 실행의 간격(Gulf of Execution): 사용자가 목표를 실제 행동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