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UX스터디
- ux 이론
- 피츠의 법칙
- 데스크톱앱
- ux 스터디
- ux 사회학
- 교통카드 잘 못 찍었을 때
- 자격증
- gtq 후기
- 교통카드 환불
- waterreminder
- uxui리뷰
- uxui
- 폰 레스토프 효과
- UX대학원
- UX공부
- ux 심리학
- 필터버블
- 인간행위
- UX심리학
- 티머니 환불
- 단계적 공개
- UXUI스터디
- 밀러의법칙
- ux이론
- GTQ 포토샵
- 네이버예약
- 폰 레스토프
- 프레이밍효과
- 물알리미
- Today
- Total
목록UX스터디 (7)
Doodle Day

🔍 기본 귀인 오류 (Fundamental Attribution Error) 란?기본 귀인 오류는 타인의 행동 원인을 그 사람의 성격이나 의도 때문이라고 판단하고, 실제로는 상황적 요인을 과소평가하는 인지적 편향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어떤 사용자가 버튼을 누르지 못했을 때 “왜 저걸 못 눌렀지? 눈치가 없네”라고 해석하는 경향이 여기에 해당한다.하지만 실제로는 버튼의 위치나 UI 구성의 문제일 수 있다.자신이 같은 실수를 할 경우에는 “내가 오늘 피곤해서 그랬다”라고 상황 탓을 하는 반면, 타인에게는 성격적 귀인을 하는 경향이 있다는 점에서 행위자-관찰자 편향 (Actor-Observer Bias)과도 밀접하게 연결된다. * 행위자-관찰자 편향(Actor-Observer Bias): 자신의 행동은 ..

사회적 증거 (Social Proof) 란?사회적 증거(Social Proof)는 사람들은 다른 사람이 하는 행동을 기준 삼아 자기 행동을 결정한다는 심리적 이론이다.UX에서는 사용자가 어떤 행동을 하기 전에 다른 사람들의 행동, 평가, 수치를 보고 신뢰하거나 결정하게 되는 심리를 의미한다. 사회적 증거 실험Robert B. Cialdini, 1984년 저서 Influence: The Psychology of Persuasion에서 개념 정리를 했다.Milgram, Bickman & Berkowitz (1969): 사람들이 하늘을 올려다보는 실험 → 다수가 하늘을 보면 나도 무의식적으로 따라 보게 됨Cialdini 외 연구팀(2008): 호텔의 수건 재사용 문구에서 ‘다른 손님들도 수건을 재사용했습니다’..

1. 피츠의 법칙이란?피츠의 법칙(Fitts' Law)은 인간-컴퓨터 상호작용과 인간공학 분야에서 인간의 행동에 대해 속도와 정확성의 관계를 설명하는 기본적인 법칙이다. 시작점에서 목표로 하는 지역에 얼마나 빠르게 닿을 수 있을지를 예측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는 목표 영역의 크기와 목표까지의 거리에 따라 결정된다. 이 법칙은 폴 피츠가 1954년에 발표하였다.이를테면, 웹페이지에서 링크가 걸린 버튼이 너무 작으면 클릭하기 힘든 이유를 설명하는 것이다.사용자의 커서 등의 이동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타겟의 사이즈"와 "타겟까지의 거리"라는 것이다. 2. 피츠의 법칙이 의미하는 것목표가 크고 가까울수록 선택 시간이 짧아진다.작은 목표나 멀리 떨어진 목표는 더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UI/UX 설계에서 버튼..

밀러의 법칙 (Miller's Law) 이란?"정보를 덩어리화 하면 외우기 쉽다." 밀러의 법칙은 인간이 단기 기억(Short-term memory)에서 한 번에 처리할 수 있는 정보의 개수가 7(±2)개라는 심리학적 이론이다. 이는 1956년 심리학자 조지 밀러(George A. Miller)가 발표한 논문 "The Magical Number Seven, Plus or Minus Two: Some Limits on Our Capacity for Processing Information"에서 제안되었다. 사람은 정보 덩어리(Chunk)로 기억한다.밀러는 실험을 통해 사람들이 숫자, 단어, 자음 등의 정보를 기억하는 능력을 측정했다. 실험 결과, 대부분의 사람이 5~9개의 항목을 단기 기억에 유지할 수 ..

도널드 노먼의 인간 행위 모형 (Donald Norman's Seven Stages of Action)도널드 노먼의 인간 행위 모형(7단계)은 사람이 특정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행동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이론적 모델이다. 이 모델은 사용자가 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수행하는 과정을 심리적 단계로 구분하여 설명한다. 이는 HCI(Human-Computer Interaction) 및 UX 디자인에서 사용자 경험을 개선하는 데 중요한 개념이다.이 모델은 인간이 행동을 수행하는 과정을 7단계로 나누며, 이를 통해 행동이 발생하는 과정과 그에 대한 피드백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를 설명한다. 노먼은 인간의 행동을 두 가지 주요 틀로 나누었다. - 실행의 간격(Gulf of Execution): 사용자가 목표를 실제 행동으..

필터 버블 (Filter Bubble) 이란?사용자가 온라인에서 접하는 정보가 개인화 알고리즘에 의해 제한되어, 특정한 관점이나 취향에 갇히게 되는 현상을 의미한다. 검색 엔진, 소셜 미디어, 뉴스 사이트 등이 사용자의 과거 검색 기록, 클릭 패턴, 관심사 등을 기반으로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면서 발생한다. 이는 긍정적으로 사용자의 '결정피로'를 낮출 수 있지만, 지속적으로 사용자가 비슷한 정보에만 노출되면 인지적인 편향에 빠질 위험도 있다. 예를들어 유튜브는 '모든 사람은 각자의 시청 습관을 가지고 있다'는 시작점에서 출발해 사용자와 유사한 다른 사용자들의 시청 습관을 비교해 사용자가 시청하고 싶어할 만한 콘텐츠를 추천하기도 한다. 이때 사용자들은 피로없이 즐겁게 보고싶은 컨텐츠를 볼 수 있지만 문제는 ..

프레이밍 효과 (Framing Effect) 란?프레이밍 효과(Framing Effect)는 같은 정보라도 제시되는 방식(프레임)에 따라 사람의 의사결정이나 판단이 달라지는 인지 편향을 의미함. 즉, 동일한 사실을 긍정적으로 표현하느냐, 부정적으로 표현하느냐에 따라 사람들의 선택이 달라질 수 있다. 카너먼 & 트버스키 (Kahneman & Tversky, 1981)의 연구연구자들은 사람들이 위험을 감수하는 방식이 프레이밍에 의해 어떻게 영향을 받는지를 조사하고자"질병이 퍼져 600명이 사망할 수 있는 상황"을 가정하고, 두 가지 방식으로 해결책을 제시했다. 긍정적 프레이밍:프로그램 A: 200명이 확실히 생존.프로그램 B: 1/3 확률로 600명 전원 생존, 2/3 확률로 전원 사망.→ 대다수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