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심리적반발이론
- 데스크톱앱
- ux 이론
- 자격증
- 밀러의법칙
- 단계적 공개
- UX대학원
- 검열ux
- ux 심리학
- 정보검열
- waterreminder
- 폰 레스토프 효과
- ux 스터디
- 인간행위
- 폰 레스토프
- UX스터디
- 스트라이샌드효과
- 피츠의 법칙
- ux이론
- 디지털심리학
- uxui리뷰
- 물알리미
- gtq 후기
- UXUI스터디
- 교통카드 잘 못 찍었을 때
- UX심리학
- uxui
- 삭제의역효과
- streisandeffect
- ux 사회학
- Today
- Total
목록UXUI스터디 (3)
Doodle Day

프래그난츠의 법칙 (Principle of Pragnanz) 이란?프래그난츠의 법칙은 게슈탈트 원칙과 관련되어있으며, 인간이 복잡한 시각적 정보를 인식할 때 가장 간결하고 조직적인 형태로 지각하는 경향이 있음을 설명하는 법칙이다. 즉, "사람들은 가능한 한 단순하고 대칭적이며 안정적인 형태로 사물을 지각하려 한다." 예를 들어, 사람들이 복잡한 도형을 볼 때 단순한 형태로 분리하여 이해하거나, 일부가 가려진 사물을 완전한 형태로 인식하는 것이 이에 해당한다. Prägnanz는 독일어로 "간결함, 명확성"을 의미하며, 맥스 베르트하이머(Max Wertheimer)가 1923년에 게슈탈트 법칙을 정리하면서 등장한 개념이다.사람들은 시각적 정보를 복잡한 그대로 인식하지 않고, 최대한 단순한 형태로 조직화해서 ..

🛵 배달의민족은 주소를 어떻게 설정할까?오랜만에 본가에서 배달 음식을 먹으려다가 주소를 바꿔야했었다. 그때 문득 배달 업계 1위인 배달의민족은 어떻게 주소 변경을 하는지 궁금해졌다. 그래서 이번에는 내가 아주 애용하는 배달의민족 주소 UXUI를 보려고 한다. 1. 홈화면, 배달페이지 (1Depth, 2Depth)배민을 들어가면 보이는 첫 화면이다. 상단 네비게이션에서 주소 확인에 대한 토스트 메세지를 보여준다. 사용자는 이때 주소 확인을 한 번 더 할 수 있어서 주소 실수에 대한 방지 할 수 있다. 또한 혜택 기능에도 토스트 UI를 활용하는 것을 볼 수 있다.또한, 가게배달 및 배민배달로 들어가게 되면 해당 주소는 명칭과 자세한 주소도 보이게 된다. 이때 특이한 점은 주소 영역이 작아진 점이다. ..

📅 네이버예약은 어떻게 볼 수 있을까?나는 네이버예약을 가끔 사용한다. 특히 병원이나 미용실을 예약할 때 아주 유용하게 잘 쓰고 있다. 하지만 매일같이 자주 사용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네이버예약 내역을 확인하려 할 때마다 애먹는다. 그래서 네이버예약과 관련해서 접근 방법을 확인해보려고 한다. 1. 내 프로필에서 확인할 수 있지 않을까?아니다. 나는 네이버예약을 찾으려고 할 때 첫 번째로 손이 갔던 곳은 프로필 부분이다. 예약이니, 나의 정보와 관련된 내역에 있지않을까? 하는 생각으로 접근했다. 결론적으론 순서만 바꿀 수 있을 뿐 존재하지 않았다. 2. 검색창 아래 주요 서비스들에서 확인할 수 있지 않을까?이것도 아니다. 나는 두번째로 이곳들에 손이갔다. 결론적으론 네이버예약을 확인할 수 있는 방..